한은 “PF대출 연체율 상승해 잠재 위험 커져…실물경제 영향 유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57회 작성일 24-03-30 12:10본문
한국은행은 28일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금융기관의 PF대출은 증가세가 정체된 가운데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저축은행은 PF대출과 연체액 비율이 모두 타 업권 대비 크다고 밝혔다.
금융권 전체 PF대출 연체율은 2021년 0.4%, 2022년 1.2%에서 지난해 4분기 2.7%까지 올랐다.
특히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4.1%에서 4분기 6.9%까지 빠르게 치솟았다. 저축은행의 자본 대비 PF 대출잔액은 65.1%, 자본 대비 연체액도 4.5%에 인스타 팔로워 달했다. 카드사 등 여전사도 PF 대출 연체율이 2022년 말 2.2%였으나 지난해 말 4.7%까지 상승했다. 증권사의 경우 PF 대출 연체율이 추세적으로 떨어지기는 하지만 지난해 4분기 말 기준으로 약 13.7%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한은은 건설사를 대상으로 ‘착수시점’ ‘사업형태’ ‘진행단계’ ‘지연정도’ ‘공사비 부담’ 등 인스타 팔로워 7개 항목으로 위험 수준을 평가한 결과, 현재 14.1%인 저축은행의 자본 비율은 고위험 사업장 전체가 부실화하면 12.6%까지, 고위험PF 사업장 부실이 다른 사업장까지 전이가 된다면 11.4%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이 ‘고위험’으로 분류한 사업장에 시공사로 참여중인 건설사는 지난해 9월말 기준 총 206개로, 이 중 시공능력 100위권 밖 중·소형 건설사가 85%였다.
한은은 다만 PF 사업장의 부실이 금융 시스템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위험도가 높은 PF 사업장의 부실로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금융 업권의 자본 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한은은 그러나 향후 부동산경기 및 건설업황 회복이 지연될 경우 PF사업장 부실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PF 채무보증 규모가 과도한 일부 건설사들이 유동성 사정 악화로 구조조정 단계에 들어가게 될 경우, 실물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저축은행 PF 사태 때도 PF 사업장 부실과 다수 건설사의 구조조정이 함께 인스타 팔로워 이뤄지면서 건설투자가 2010~2012년 평균 3.3%의 감소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